2025년 은행 업무 변화 다섯 가지
1. 🏦 2025년 은행 업무 변화
-
국내 은행 영업점수가 2019년 말 6,709곳에서 2020년 말 5,800곳으로 감소하고 있으며, 비은행 ATM 운영 업체들의 ATM 기기도 줄어들고 있다.
-
주요 은행들이 각각 100개 이상 ATM 기기를 줄이고 있어, 현금을 찾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.
-
스마트폰을 활용한 은행 업무의 편리함으로 인해 은행 지점과 ATM의 수가 감소하는 추세이다.
2. 🏦 은행 업무의 변화와 오픈 뱅킹
-
오픈 뱅킹은 은행 업무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입되고 있다.
-
직장인들을 위해 은행의 업무 시간이 확대되고 있으며, 예를 들어 신한은행은 저녁 시까지 운영하는 이브닝 플러스를 제공하고 있다.
-
많은 은행들이 이러한 변화에 참여하기를 바란다는 의견이 있다.
3. 🏦 오픈 뱅킹 서비스의 발전
-
전국 오프라인 은행 영업점에서도 오픈 뱅킹 서비스가 가능해진다.
-
오픈 뱅킹은 금융기관의 앱 하나로 모든 은행 계좌를 등록해 송금, 이체, 조회를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.
-
사용자는 주 거래 은행이 아닌 다른 은행에서도 잔액 조회, 거래내역 조회, 송금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.
-
예를 들어, 우리은행을 주 거래 은행으로 사용하더라도 신한 은행 영업점에서 국민은행으로 계좌 이체를 할 수 있다.
4. 💰 금융 사기 피해 보상 제도 변화
-
2025년부터는 보이스 피싱으로 인한 금융 사고에 대해 1금융권뿐만 아니라 제2금융권에서도 보상받을 수 있다.
-
피해 배상을 신청할 수 있는 경우는 2024년 1월 1일부터 시작되며, 이는 비대면 금융 사고로 인해 발생한다.
-
피해 금액의 산정은 전체 피해 금액에서 통신 사기 피해 환급법상의 피해 환급금을 제외한 금액으로 이루어진다.
-
소비자의 과실 정도에 따라 최종 피해 배상 금액이 결정되며, 개인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면 배상이 제한될 수 있다.
-
개인 정보를 스마트폰에 저장하지 않고, 주민 등록증 및 운전 면허증의 사진은 삭제하는 것이 권장된다.
5. 🏦 2025년 예금자 보호법 변화
-
예금자 보호법은 금융회사가 영업 정지 또는 파산 시 고객의 예금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이다.
-
현재 예금 한도는 한 은행당 5천만 원으로, 이 금액을 초과하는 금액은 보호되지 않는다.
-
2025년부터 예금자 보호 한도가 1억 원으로 상향될 예정이다.
'인간생활지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중장년 일자리 지원! 최대 150만원!! (0) | 2025.01.30 |
---|---|
민생 회복 지원금 1인당 25만원 전국 지자체 현황(설날 전 지급) (0) | 2025.01.29 |
2025년 추가! 연말정산 할 때 소득 공제 혜택 총정리! (1) | 2025.01.27 |
2025년부터 달라지는 고속도로 정책: 통행료 할인과 긴급 견인 서비스 총정리 (0) | 2025.01.26 |
냉동밥 보관용기 실리콘 vs 유리 ?!?! 냉동밥 장점과 단점 (0) | 2025.01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