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3년 인상되는 요금
점점 힘들어지는 와중에 물가는 올라가고 그와 더불어 중에 일상에 생활 필요한 생활요금까지 같이 올라간다고 한다.
2023년에는 우리 생활에 가장 가까운 요금중 어떤것들이 인상되는지 알아보자.
◆ 버스요금
버스요금(서울시만 해당, 4월 말부터 시행) | ||||
구분 | 교통카드 | 현금 | ||
인상 전 | 인상 후 | 인상 전 | 인상 후 | |
간선/지선 | 1,200원 | 1,500원 | 1,300원 | 1,600원 |
마을버스(초록버스) | 900원 | 1,200원 | 1,000원 | 1300원 |
- 2023년 4월 말부터 시행 예정
- 버스요금 한달 60회 이용시 72,000원 => 90,000원 1인 매달 18,000원이 추가되는 셈(상승률 약25%)
◆ 지하철 요금
지하철 요금(4월 말부터 시행) | ||||
구분 | 교통카드 | 현금 | ||
인상 전 | 인상 후 | 인상 전 | 인상 후 | |
일반 | 1,250원 | 1,550원 | 1,350원 | 1,650원 |
청소년 | 720원 | 1,350원 | ||
어린이 | 450원 | 450원 |
- 지하철 요금 기준 한달 60회 이용시, 75,000원 => 93,000원으로 1인 기준 매달 18,000원 인상(상승률 약24%)
◆ 택시요금
택시요금(2월부터 인상) | ||
구분 | 현금/교통카드 | |
인상전 | 인상후 | |
기본요금 | 3,800원 | 4,800원 |
심야 할증(23시~02시기준) | 4,600원 | 5,300원 |
- 서울 중형택시 기준, 2023년 2월부터 시행
- 기본거리 1.6km 당 기본요금 4,800원(131m, 30초 당 100원)
- 심야 할증(22시~익일04시 / 할증요율 20~40%)은 22년 1월부터 시행됨
◆ 전기요금
- 2023년 1분기 전기요금 이상
: 2022년 말 대비 총 13.1원/kwh 인상 >>> 1월 1일부터 9.5% 폭으로 인상
: 월평균 307kwh 를 사용하는 4인 가구 기준 1분기 전기요금 4,570원 가량 오르는 셈
* 작년과 마찬가지로 전기요금이 분기마다 순차적으로 인상될 전망
◆ 가스요금
- 2023년 1분기 동결
: 겨울철 난방비 부담 고려해 1분기 동결 결정
- 2023년 2분기 인상안
: 1MJ(메가줄)당 8.4원~10.4원 인상될 전망 >>> 지난해 대비 약 1.5~1.9배 인상 예상
◆ 건강보험료
- 2023년도 건가보험료율은 1.49% 인상
: 직장가입자 보험료율은 0.1% 인상
◆ 휘발유 유류세 인하 폭
: 휘발유 유류세 인하 폭 37%에서 25%로 축소
◆ 최저시급
: 2022년 9,160원에서 5%(460원)오늘 9,620원으로 인상
: 주 40시간 근무 기준 (주휴수당 포함)
월급은 201만 580원 // 연봉은 2412만 6960원
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.
뉴스를 보면 앞으로 경제 전망이 더욱 안좋아 진다고 하는데 살아가기 더욱더 힘들어질거 같다.
올해 한해도 잘 버텨보자
'인간생활지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민건강보험료 경감(건보료 감면) 혜택과 비율(저소득자 65세 이상 등) (1) | 2023.01.10 |
---|---|
2023년도 새롭게 변화되는 것들(만나이,소비기한,최저시급,버스지하철정기권,입학금,고교학점제,우회전신호등,1종면허,오토바이보험 등) (0) | 2023.01.09 |
카드 포인트 현금화 서비스 (0) | 2022.12.03 |
일을 할땐 (0) | 2021.12.22 |
T map 운전 점수 (0) | 2021.06.16 |